이 장비를 무대쪽 앰프랙에 설치하고, 하우스에서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같은 회사의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호환성이 보장되지만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요.
![]() |
| LEEM의 순차전원공급기 NS 시리즈의 리모트 컨트롤 시스템 라인업 입니다. (IMG=LEEM) |
다행히도(?) LEEM은 제품 매뉴얼에 각 단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려주고 있고, 친절하게 연결도까지 그려주어 DIY를 돕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자작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장비를 주문하고, 도착하기 전에 원격 전원 케이블을 만들어 놓습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후면 LED와 스위치 연결 단자가 RCA 였습니다. 이것을 상기하며 케이블과 스위치 박스를 만들어 봅니다.
| 일반 케이블에 납을 먹이고, 랜툴로 결선한 후, 글루건으로 마감 |
| 일반 케이블에 납을 먹이고, 랜툴로 결선한 후, 글루건으로 마감 |
이 작업은 저도 잘 될지 의심이 가던 작업인데요, RCA 케이블(TV 연결용을 활용했습니다)의 심선을 잘 정리하여 풀리지 않게 납을 먹인 후, 랜툴로 RJ45 단자에 연결하였습니다. 그리고 좀 더 튼튼히 자리잡도록 글루건으로 마감을 하였구요.
| 한 쪽은 RJ45로, 다른 쪽은 RCA로 마감되었습니다. |
| RJ45로 마감된 쪽은 커플러를 이용해 다른 랜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이렇게 한 쌍의 케이블을 만들었습니다. 하나는 순차전원공급기에, 하나는 스위치 박스에 연결될 것입니다.
스위치 박스는 전에 테스트 용으로 만들었던 것을 사용했습니다.
| 전원 인가 여부를 알려주는 LED와 On/Off 스위치가 있습니다. |
| 스위치박스의 구조는 매우 간단합니다. |
스위치는 단순히 회로의 개폐만 담당하고, LED는 3.3V 전압이 출력되므로 저항 없이 직결하였습니다. 먼 거리를 가다 보면 쬐끔 전압강하도 일어나지 않겠습니까? ^^;
| 테스터기를 이용해 결선이 잘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순차전원공급기가 설치될 장소에 랜케이블은 이미 매립이 되어있으니, 이번에 준비한 원격 전원 케이블을 들고 장비가 설치될 곳으로 갑니다.
그런데.. 생각지도 못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 기존 RCA커넥터로 LED와 스위치를 연결할 수 있던 것이, 유로블록으로 24V DC전원과 스위치만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웬 유로블록이.. 포장을 뜯는데 랜케이블이 들어있어 웬걸 했는데..
제조사의 공고 없이 개선품이 나올 수는 있지만, 이런 것일줄은 몰랐습니다. 홈페이지 업데이트라도 해주지; (홈페이지에는 구버전과 개선품의 사진을 모두 게재하고 있습니다)
![]() |
| 24V DC 전원 공급이 터미널로 분리되어 있고, 원격 스위치와 전원LED를 RCA로 연결하도록 하였습니다. 기기간 링크는 DIN 커넥터 사용. (IMG=LEEM) |
![]() |
| 24V DC 전원과 원격 스위치를 유로블록으로 연결하고, 기기간 링크는 랜케이블로 대체되었습니다. 이로인해 구성품에 랜케이블이 포함되었습니다. (IMG=LEEM) |
열심히 RCA로 준비한 케이블은 못 쓸것 같고.. 전원 인가를 확인하는 LED도 못 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만들었으니 연결해 봐야지요. ㅋ
| 그래서 새로운 케이블을 만들어야 했습니다. |
반쪽짜리 기능만 쓰게 되었지만, 다른 케이블로 유로블록에 꽂아 스위치 기능이라도 하게 만들었습니다.
테스트 결과 문제 없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고, 랙에 잘 장착하여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완벽한 전 자동화는 아니라, 하우스에서 콘솔 전원 켜고, 부팅이 끝나면(1분은 걸리는 것 같습니다) 스위치박스를 통해 앰프랙에 전원을 인가합니다. 나중에 하우스에 순차전원공급기가 하나 더 설치된다면 랜케이블을 통한 링크로 바로 연동이 가능할 것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