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링크로 접속시 페이지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위 검색창을 이용하시면 원하는 포스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알리발(Ali-發) 마이크 쇼크마운트
공유 링크 만들기
Facebook
Twitter
Pinterest
이메일
기타 앱
필요에 의해 몇 가지 저렴한 펜슬형 컨덴서 마이크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번들 마이크 홀더는 플라스틱 재질에 충격흡수가 되지 않습니다. 드럼 오버헤드 마이크로 사용하거나 앰비언스 마이크로 주로 사용하는데요. 번들 마이크 홀더가 없는 경우에는 테이프를 둘둘 감아 일반 마이크 홀더에 끼우기도 했지요.
하지만 아무래도 마이크 스탠드를 통해 들어갈 수 있는 잡음이 신경쓰이긴 하여서, 쇼크마운트를 알아봤습니다. 마이크 홀더 부분이 탄성줄로 떠 있어야 했고, 작은 구경의 마이크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줄 수 있어야 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마이크 중 가장 얇은 것이 S사의 C02 인데, 이 마이크는 직경이 20mm 밖에 되지 않습니다. 번들로 제공되는 쇼크마운트형 마이크 홀더가 존재하나 제 손엔 없고, 따로 구하는 것도 어려워 보였습니다.
기성제품은 가격이 비싸다던지 하여, 우리의 친구 알리익스프레스(Aliexpress)를 뒤져보았습니다.
'mic', 'shockmount', 'suspension', 'condenser', 'pencil' 등의 단어들을 조합하여 검색을 했고, 제가 원하는 타입의 제품을 두 가지 찾았습니다(두 가지 밖에 안 보였습니다 ^^;). 2주의 기다림 후에 실물을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
두 가지 마이크 쇼크마운트 입니다.
첫 번째 쇼크마운트는 고무링이 마이크를 잡아주는 구조이고, 여분의 고무링이 4개 포함되어있습니다. 두 번째 쇼크마운트는 손잡이를 잡고 벌려 마이크를 장착하는 방식입니다. 두 제품 모두 23-25mm 의 마이크를 장착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는데, 실제 20mm 마이크를 장착해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
마이크 쇼크마운트 나사는 5/8" 입니다.
마이크 홀더와 결합되는 부분은 5/8" 규격의 암나사로 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것은 플라스틱 본체 안에 암나사가 삽입되어 있고, 두 번째 것은 본체가 금속으로 되어 있어 좀 더 견고해 보입니다.
*실제 마이크 스탠드에 결합해보니, 첫 번째 것(왼쪽)이 나사산이 미묘하게 크네요... 들어가긴 들어가는데 살짝 헐렁한 느낌입니다. 두 번째 것(오른쪽)은 딱 맞습니다.
첫 번째 쇼크마운트의 마이크 결합부입니다.
첫 번째 쇼크마운트와 C02를 결합한 모습입니다.
두 고무줄이 만나면서 생기는 중앙의 정사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15mm 정도입니다. 고무줄(실리콘? 우레탄?)의 단면 직경은 1mm 정도에, 고무줄 전체 직경은 15mm 정도입니다. 굵기가 얇아 끊어지기 쉬울 것 같으며, 2mm 정도 두께의 고무줄도 장착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응급상황시 노란고무줄을 활용해도 괜찮을 듯.. ^^;)
두 번째 쇼크마운트의 마이크 결합부 입니다.
두 번째 쇼크마운트와 C02를 결합한 모습입니다.
두 번째 쇼크바운트는 여분의 고무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이런 류의 고무줄은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중앙 마이크 고정부는 30mm 직경의 철제 마운트 안쪽에 4T 정도의 고밀도 폼 패드가 덧대어져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20mm 직경의 마이크가 헐거울 것 같으나(^^;), 실제 패드의 탄성과 마찰력으로 제법 견고하게 잡아주었습니다. 추후에 1~2mm 정도의 패드를 붙여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얼마나 잘 잡아주는지.. 직접 한 번 흔들어 보겠습니다.
알리에서 구입한 마이크 쇼크마운트는 저렴한 가격으로 훌륭하게 마이크를 분리(isolation)할 수 있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일단 드럼 오버헤드 마이크와 앰비언스 마이크에 적용을 해봐야 겠네요. (^^*)
쉐보레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마이링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승용과 상용(트럭) 라인업에서 서로 다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고, 제조사도 LG전자, 파나소닉, 알파인 등 여러 곳이 있습니다. 세대도 다르고 사양도 조금씩 다른 버전들이 혼재해 있지만, 오늘의 주인공은 LG전자에서 만든 버전입니다. (아마) 구형 스파크와 아베오, 트랙스에 적용된 모델입니다. 본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마이링크 조작 버튼이 정전식 터치 버튼이라는 점이고, '브링고'라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앱을 널리 알리게 된 모델이라는 점입니다. 요즘 핫한 안드로이드 오토나, 애플 카플레이는 적용되지 않았구요. Made In Korea 라는 점이 있겠습니다. 사실 이 마이링크가 계륵인 이유가, 네비게이션은 사제로 달아서 쓰게 되고, 위치도 아래쪽이라 시선이 내려가는데다, 스마트폰과의 연결성도 좋지 않아서 사실상 '풀 칼라 터치스크린 라디오' 정도의 위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 정도의 존재이유 밖에 가지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순정 후방카메라와 연동이 되고, 차량 및 라디오 설정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옵션 가격이 결코 저렴하지 않음으로, 일명 '풀옵션' 차량을 뽑을게 아니라면 선택하는데 고민을 안게 되는 옵션인 것입니다. 그런 마이링크를, 쉐보레 아베오 LS 트림에 이식해 보겠습니다.
(* 이 글은 2016년 12월 13일 Shure 블로그에 게제된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Line and Mic Levels?’ 란 글을 번역한 내용입니다. [원문링크] . 오역이나 의역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에서 '라인 레벨'과 '마이크 레벨'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신가요? 자, 여러분은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종종 이러한 질문을 받는데요. 간단히 얘기해서, 오디오 신호의 전압 크기에 관한 것입니다.
이 글에 등장하는 차량은 현대 그랜드스타렉스(12인승) 2017년 4월 출고 차량입니다. 트림은 (아마)스마트에 네비게이션 패키지를 추가한 것입니다. 요즘은 경차에도 크루즈 컨트롤이 달려 나오기에, 당연히 다른 차들도 크루즈 컨트롤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 물론 크루즈 컨트롤은 주로 고속도로 주행시에 항속주행을 위한 것이라, 110KM/h 속도제한이 있는 스타렉스 12인승에 무슨 필요가 있느냐 싶었지만(110KM/h 에서 더 안 올라가기에 저절로 항속주행이 됩니다), 가속페달에 발을 올려 힘을 주고 있는 것과 편안히 내려놓는 것의 차이는 운행 시간이 길어질수록 커지겠지요! 각종 스타렉스 동호회들을 돌아다녀보니, 저와 같은 고민을 한 분들이 많았고, 몇몇분은 실제로 순정 기능을 살리신 것도 보았습니다. 상위 트림에 크루즈 기능이 있으면 하위 트림에서도 스위치만 바꿔서 활성화 가능하다는 것을 보고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 번 ‘알리발(Ali-發) 마이크 쇼크마운트‘ 글에서 몇몇 제품이 어댑터가 맞지 않아 고생을 했었습니다. 이 […]
답글삭제